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쓸모있는 정보

독감예방접종 시기 2025, 어린이·임산부·65세 이상 무료 대상과 유료 백신까지 총정리!

by 제주마미 2025. 9. 22.

2025년 가을부터 시작되는 독감 예방접종, 올해도 꼭 챙기셔야 합니다.

특히 어린이, 임산부, 65세 이상 어르신을 비롯해 일부 장애인까지 무료 대상이 확대되었는데요.

“언제 맞아야 가장 효과적일까?” “무료 대상이 아니면 유료로 맞아야 할까?”

이런 고민을 한 번쯤 해보셨다면, 이 글로 확실하게 정리해보세요!

독감 예방접종, 왜 꼭 맞아야 할까요?

독감 백신은 감염을 완전히 막는 건 아니지만, 중증으로 발전하는 걸 예방해주는 역할을 해요.

특히 면역력이 약한 65세 이상, 어린이, 임산부는 독감에 걸렸을 때 합병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예방접종이 꼭 필요합니다.

백신을 맞고 2주 정도 지나야 항체가 생기기 때문에 유행하기 전에 미리 맞는 게 좋아요.

올해도 다양한 연령대에서 독감 백신이 무료로 제공되며, 백신 종류도 바뀌었으니 꼼꼼하게 체크해보세요.

무료 접종 대상자와 시기, 이렇게 달라졌어요

2025년부터는 무료 접종 대상이 더 넓어졌습니다.

어린이와 어르신 외에도 임산부, 일부 장애인까지 포함돼요.

어린이 접종 시기

2회 접종 대상자(접종력 없거나 1회만 맞은 6개월~9세 미만): 9월 22일 시작

1회 접종 대상자(생후 6개월~만 13세): 9월 29일 시작

임산부 접종 시기

9월 29일 시작 ~ 2026년 4월 30일까지

임신 주수 관계없이 모두 가능해요

65세 이상 어르신 접종 시기

75세 이상: 10월 15일

70~74세: 10월 20일

65~69세: 10월 22일

장애인 접종 시기

보건소에 등록된 장애인 중 지원군 해당자: 9월 29일부터

모든 무료 접종은 2026년 4월 30일까지 받을 수 있어요.

보건소 또는 지정 병원에서 접종 가능하며, 사전 예약을 추천드립니다.

무료 백신과 유료 백신,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올해부터 무료로 제공되는 백신은 3가 백신입니다.

기존의 4가 백신과 비교하면 B형 바이러스 한 종이 빠졌는데요.

이유는 간단해요. 최근 몇 년간 B형 중 야마가타 계열 바이러스가 거의 발견되지 않아서, 굳이 백신에 포함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에요.

무료 접종은 정부에서 공급하는 3가 백신으로 충분하며, 유료 접종은 3가 또는 4가 백신 중 선택 가능해요.

유료 접종이 필요한 경우는 언제일까요?

무료 대상이 아니라면 병원에서 유료로 맞아야 해요.

또는 무료 대상자라도 4가 백신을 원한다면, 본인 비용으로 유료 접종을 선택할 수 있어요.

유료 백신 비용은 보통 3만~5만 원대이며, 병원마다 차이가 있으니 미리 확인이 필요합니다.

백신 종류 간 효과 차이는 클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큰 차이는 없습니다.

2025년 현재 유행하는 바이러스에는 3가 백신도 충분히 효과적이에요.

4가 백신이 포함하는 야마가타 계열이 사실상 사라진 상황이라, 굳이 유료 백신을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무료 대상자라면 3가 백신으로도 안전하게 독감을 예방할 수 있어요.3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대상별 접종 정리

어린이 (6개월~13세)
2회 또는 1회 접종 대상, 9월 22일 또는 29일부터 시작

임산부
임신 시기 관계없이 1회 접종, 9월 29일 시작

65세 이상 어르신
생년월일에 따라 접종 시작일이 다름

장애인
국가예방접종 지원군 해당자만 무료

모든 대상자는 2026년 4월 30일까지 접종할 수 있어요.

독감 예방접종 부작용, 걱정되시나요?

대부분 가볍게 지나가는 정도입니다.

접종 부위가 약간 붓거나 붉어지거나, 미열이나 피로감이 나타날 수 있어요.

보통 하루 이틀이면 괜찮아지지만, 숨이 차거나,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접종 후 20~30분은 병원에서 쉬었다 가시는 걸 추천드려요.

코로나·폐렴구균 백신과 함께 맞아도 될까요?

네, 가능합니다!

다른 팔에 나눠서 접종하면 문제없어요.

특히 65세 이상 어르신이라면 코로나19 백신, 폐렴구균 백신과 함께 맞는 걸 권장해요.

한 번에 해결하면 병원 방문도 줄고, 항체 형성도 더 빠르답니다.

언제까지 맞아야 효과가 있을까요?

가장 좋은 시기는 9월~10월입니다.

이 시기에 접종하면 겨울철 유행 전에 항체가 생겨서 효과적이에요.

하지만 11월, 12월에 접종해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어요.

3월 이후엔 늦을 수 있으니 가급적 1~2월까지는 접종을 마치는 게 좋아요.

이 글을 정리하며…

2025년 독감 예방접종은 9월 하순부터 내년 4월 말까지 진행돼요.

무료 대상자가 아니라도 유료 백신을 통해 접종 가능하니, 미리 계획을 세우는 게 중요합니다.

독감은 단순한 감기가 아니에요. 중증 합병증, 입원, 사망 위험까지도 줄일 수 있는 예방접종!

올해도 꼭 챙기셔서 건강한 겨울 보내세요.